불러오는 중
00
Project Header Image
Gwanghwamun
광화문
분야 건축
시대 조선
지정분류 사적
간단한 소개

광화문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조선전기에 세워진 경복궁 남쪽의 궁문(宮門) 입니다.

조선 왕실과 국가의 권위를 상징적으로 대변하는 문으로, 석축기단(石築基壇; 돌로 쌓은 담)에 3궐의 홍예(虹霓; 문의 윗부분을 반원 모양으로 만든 문)를 만들고 그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형식의 중층집으로 우진각지붕을 얹었습니다.

역사

1395년(태조 4) 경복궁을 창건할 때 정전(正殿)인 근정전과 편전(便殿)인 사정전·침전인 경성전(慶成殿)·연생전(延生殿)·강녕전(康寧殿) 등을 지어 궁궐의 기본구조를 갖춘 다음, 1399년에 그 둘레에 궁성을 쌓은 뒤 동·서·남쪽에 성문을 세우고, 동문을 건춘문(建春門), 서문을 영추문(迎秋門), 남문을 광화문이라 이름 지었습니다.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중건 당시인 1865년(고종 2)에 다시 짓게 하였습니다. 1927년에는 일제의 문화말살정책으로 인해 경복궁의 여러 곳이 헐리고 총독부청사가 들어서면서 건춘문 북쪽으로 옮겨졌습니다. 이후 광화문은 6·25사변 때 폭격을 맞아 편전인 만춘전(萬春殿)과 함께 불타버렸습니다. 1968년에 석축 일부가 수리되고 문루는 철근콘크리트구조로 중건되었다가 2006년 들어, 경복궁 복원공사의 일환으로, 철거·해체되었습니다. 이후 광화문 이전 공사가 개시되어 2010년 8월 완공되었습니다.

Single Image
Single Image
Single Image
Single Image
Single Image
원본 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167.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