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러오는 중
00
Project Header Image
Gyeongbokgung
경복궁
분야 건축
시대 조선
지정분류 사적
간단한 소개

경복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되어 정궁으로 이용된 궁궐입니다.

경복궁은 도성의 북쪽에 있다고 하여 북궐(北闕)이라고도 불렸습니다. 조선왕조의 건립에 따라 창건되어 초기에 정궁으로 사용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전소된 후 오랫동안 폐허로 남아 있다가 조선 말기 고종 때 중건되어 잠시 궁궐로 이용되었습니다.

근정전

공포(栱包)는 다포계(多包系)이고, 구조는 전후 툇간 11량(前後退間十一樑)구조의 건축물 입니다. 신하들의 조하(朝賀)를 받거나 정령(政令)을 반포하는 정전(正殿)으로, 때로는 사신을 맞아들이기도 하고 양로연(養老宴)이나 위로연을 베풀기도 하던 곳입니다.

Single Image
Single Image
Single Image
Single Image
Single Image
Single Image
Single Image

사정전

사정전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다포계(多包系)의 단층 팔작기와지붕 건물입니다. 근정전(勤政殿) 뒤 사정문(思政門) 안에 자리잡고 있는 건물로, 왕이 평상시에 거처하면서 정사를 보살피던 전당입니다. 창건 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세종 때에는 이미 편전으로 이용되었습니다.

Single Image

경회루

정면 7칸, 측면 5칸의 중층(重層) 팔작지붕건물인 근정전은 서북쪽에 있는 방형 연못 안에 있습니다. 경회루는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 연회를 베풀기 위한 곳이었습니다.

Single Image
원본 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411.8MB)